
스타벅스의 가격인상이 다른 커피 전문점의 가격인상 도미노를 부르는 신호탄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21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스타벅스코리아(대표 이석구)는 지난 16일 임대료 상승 등의 의유로 전체 42개 음료 중 아메리카노 등 23개를 각각 100원에서 200원 올렸다. 평균 인상률은 2.1%다.
이에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는 최근 스타벅스의 가격인상 발표에 대해 “스타벅스의 커피가격 인상은 설득력이 없다”고 꼬집었다.
특히 “스타벅스가 2012년 5월 가격을 인상한 뒤 커피빈(7월), 투썸플레이스(8월), 할리스(9월), 엔제리너스(10월) 등이 차례로 가격을 올린 점에 비춰보면 이번 스타벅스의 가격인상도 다른 커피 전문점의 가격인상 도미노를 부르지 않을지 우려스럽다”고 덧붙였다.

협의회는 이와 관련 “스타벅스의 2013년 재무제표를 보면 임차료는 전년보다 162억원 증가했으나 이는 매장 수 증가에 따른 것”이라며 “같은 기간 매출액은 912억원 증가해 오히려 매출 대비 임차료 비중은 감소했다”고 설명했다.
아라비카 생두 1㎏의 올해 상반기 평균가격은 4179원으로 작년 상반기의 3280원보다는 올랐으나 2012년보다 10.4% 하락한 수준이라는 것.
스타벅스의 경우 2010년 1월, 2012년 5월에도 가격을 인상해 4년 6개월간 두 차례나 가격을 인상한 바 있다.
이에 지난 4년간 평균 영업이익률이 7.5% 수준이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영업이익률 유지가 손쉬운 소비자가격 인상카드를 들고 나온 것 아니냐는 것이 협의회의 입장이다.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 관계자는 “스타벅스는 이번 가격인상의 근거로 임차료, 인건비, 시설관리, 음료의 지속적인 원가 상승요인 등을 꼽았지만 음료의 소비가 많은 여름철 가격을 인상하는 것은 일종의 꼼수”라며 비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