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동제약, ‘삼다수 롱런’ 먹구름 끼나

  • 등록 2014.08.29 18:06:00
크게보기

제주도개방공사 직영체제 전환 방안 검토,,,마이너스 성장 불가피

오재윤 제주도개발공사장, 삼다수, 최성원 광동제약 대표
▲오재윤 제주도개발공사장, 삼다수, 최성원 광동제약 대표

제주도개발공사(사장 오재윤)가 삼다수사업을 직영체제로 전환하려는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삼다수로 재미를 보고 있는 광동제약(대표 최성원)에 긴장감이 감돌고 있다.


 

2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광동제약이 유통하는 먹는샘물 시장점유율 1위 삼다수의 상반기 매출은 722억원으로 전년 동기(564억원)대비 28.0% 급증했으며 판매량도 지난해 13046만개에서 올해에는 16533만개로 늘어난 것으로 밝혀졌다.

 

광동제약의 올 1분기 매출은 11036천만 원으로 전년 동기 9879천만 원에 비해 11.7% 증가했다이 가운데 삼다수 매출만 305억 원으로 27,6%를 차지한다.

 

삼다수 매출은 지난해 1분기 237억 원에 비해 28.7%나 증가해 전체 매출의 30%를 차지하고 있으며 본업이라 할 수 있는 의약품 매출은 3%대 증가에 그쳐 사실상 삼다수가 매출을 책임지고 있는 셈이다.


제주 삼다수 공장
▲제주 삼다수 공장
 

하지만 최근 원희룡 제주지사가 삼다수 밀반출과 관련해 제주도개발공사 주도로 물류사업을 운영하라고 질책하면서 제주도개발공사는 2016년부터 공사가 자체적으로 맡아 사업을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여기에 국내 일반 도·소매점 유통·판매를 담당하고 있는 광동제약과의 계약기간인 2017년 말에 종료되면2018년부터 제주도개발공사가 직영하는 방안이 논의되고 있는 상황이다.

 

제주도개발공사가 삼다수사업을 직영체제로 전환할 경우 광동제약은 타격은 클 것으로 예상된다.

 

업계 관계자는 광동제약의 매출 30%를 삼다수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삼다수를 대체할만한 의약품이나 음료가 나와야 할 것이라면서 대안이 없을 경우 마이너스 성장이 불가피할 수 밖에 없다고 말했다.

 

한편올해 6천억 규모로 예상되는 국내 생수시장은 성장세는 지속되고 있는데 농심의 백산수는 올해 상반기 판매량이 1053만병으로 지난해 상반기(625만병)보다 68.5% 급증매출액도 89억원에서 135억원으로 51%늘었으며롯데칠성음료의 먹는샘물 아이시스로 상반기 매출이 542억원으로 전년 대비 26% 성장했다.

 

하이트진로음료의 석수역시 336억원에서 362억원으로 증가폭이 8%에 달했다.

조성윤 기자 etvocal@hanmail.net
Copyright @문화투데이 Corp. All rights reserved.

(본사) 충북 충주시 신니면 신덕로 437 | TEL : 043-854-5952 ㅣ FAX : 043-844-5952 (서울본부) 서울시 영등포구 양평동4가 280-8(선유로 274) 3층 | TEL : 02-2671-0203 | FAX : 02-2671-0244 (충남본부) 충남 천안시 동남구 천안대로 553, 2층 (구성동 426-3) l TEL: 041-565-7081 l FAX 041-565-7083 등록번호 : 충북, 아00250 | 등록일 : 2021년 8월 13일 | 발행인·편집인 : 황재연 Copyright @문화투데이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