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랫동안 생수 판매율 1위를 기록하던 광동제약 제주삼다수의 시장 점유율이 하락세다.
8일 시장조사업체 AC닐슨이 유통업체 자체브랜드(PB) 제품을 제외한 생수 브랜드들의 시장 점유율(매출액 기준)을 조사한 결과, 삼다수의 점유율은 지난 1월 46.3%에서 2월 46.5%로 0.2%포인트 올랐지만 지난 8월 42.5%까지 떨어지는 등. 6개월 새 4.0%포인트가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백산수, 아이시스, 석수 등의 점유율 합계는 1월 18.6%에서 8월 23.2%까지 매월 꾸준하게 늘고 있는 추세다.
농심의 백산수 점유율은 지난 1월 3.2%에서 꾸준히 올라가 4월 처음으로 4%대의 점유율을 기록했으며 계속 상승세를 지속하며 8월에는 처음으로 5%대의 점유율을 나타내며 판매량은 370만 박스로 전년 대비 62.2% 급증했다.

해태음료의 강원평창수는 지난 2분기에 점유율이 줄었지만 성수기인 지난 7월과 8월 프로모션을 진행한 덕에 점유율이 5.5%, 6.3%로 다시 확대됐다.
현재 삼다수는 42.5%의 점유율로 여전히 1위를 지키고 있지만 여러 업체들의 추격이 만만치 않다.
남양유업은 생수 매출을 2년 안에 500억원을 돌파하겠다는 목표를 세웠으며 이원구 대표가 직접 생수 사업 확대를 지시해 담당 인원도 늘리고 생산 물량도 늘리기로 했다.
팔도 역시 생수사업에 의욕을 보이며 지난 8월 ‘지리산 맑은샘’을 6년 만에 리뉴얼했다. 리뉴얼 용기를 위해 독일 크로네스에 금형제작을 맡기고 용기 디자인에 대한 의장출원도 마쳤다.
수입생수와 탄산수도 삼다수의 매출을 위협하고 있다.
수입 생수인 에비앙과 볼빅은 8월까지 전년 대비 6% 매출이 올랐고, 탄산수 매출 규모는 전년 대비 50% 정도 늘 것으로 예상된다.
생수 업계 관계자는 “기존의 생수업체는 제품을 리뉴얼하고 유통권을 가진 유통 업체들도 PB 상품을 출시하고 있기 때문에 삼다수의 점유율은 안심할 수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편 올해 생수 시장 규모는 6000억원으로 지난해보다 11.1%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