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암 37%는 음주와 직접 연관"

  • 등록 2022.11.15 12:15:05
크게보기

451만명 6년 추적…"비음주→고위험음주 땐 암 위험 최고 34%↑"

[문화투데이 구재숙 기자] 국내 암 발생 사례 3분의 1 이상이 음주와 직접 관련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서울대병원 강남센터 유정은 교수, 삼성서울병원 가정의학과 신동욱 교수, 숭실대 통계학과 한경도 교수 공동 연구팀은 2009년과 2011년 두 차례에 걸쳐 국가건강검진에 참여한 40세 이상 성인 451만3천746명을 추적 관찰한 결과 음주와 암 발생 사이에 이런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15일 밝혔다.

 

이번 연구에서는 평균 6.4년의 관찰 기간에 21만5천676명(4.8%)이 암 진단을 받았다. 연구팀은 이 가운데 37.2%가 음주와 직접적인 관련이 있는 것으로 분석했다.


특히 음주는 하루 섭취량에 따라 암 발생에 차이를 보였다.

 

연구팀은 하루 음주량을 기준으로 비음주군, 저위험음주군(15g 미만), 중위험음주군(15~30g), 고위험음주군(30g 이상)으로 나눠 음주량의 변화가 암 발생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를 살폈다. 알코올 15g은 대략 맥주 375mL 1캔 또는 소주 1잔 반에 해당하는 양이다.

 

그 결과 평소 술을 마시지 않던 사람이 술을 마시기 시작하면 알코올 관련 암 발병 위험이 덩달아 커졌다. 알코올 관련 암은 구강암을 비롯해 식도암, 인후두암, 간암, 직장암, 유방암 등 알코올과 암 사이 인과관계가 밝혀진 암들을 말한다.

 

연구팀은 비음주자가 다음 검사에서 음주자가 됐을 때의 암 발병 위험이 각각 저위험 음주자 3%, 중위험 음주자 10%, 고위험 음주자 34%로 추산했다.

 

이는 평소 술을 마시던 사람이 음주량을 늘리는 경우에도 마찬가지였다.

 

암 발병 위험은 저위험 음주에서 중위험 음주자가 되면 10%, 고위험 음주자가 되면 17% 높아졌다. 중위험 음주자 또한 고위험 음주로 변하면 위험도가 4% 올랐다.

 

분석 대상을 모든 암종으로 넓혀도 비음주자였던 사람이 고위험 음주자가 되면 전체 암 발병 위험이 12% 높아졌다. 저위험 음주자였던 사람과 중위험 음주자였던 사람도 고위험 음주자가 되면 암 발병 위험이 각각 9%, 1% 증가했다.

 

다만 술을 끊거나 줄이면 암을 예방하는 효과가 분명했다. 이 중에서도 고위험 음주자가 중위험 음주자로 술을 줄이면 알코올 관련 암 발병 위험이 9%, 전체 암 발병 위험은 4% 감소했다. 저위험 음주 정도로 술을 더 줄이면 그 위험도는 각각 8% 낮아지는 효과가 나타났다.

 

신동욱·유정은 교수는 "음주량 변화에 따라 암 발병 위험이 어떻게 달라지는지를 대규모 코호트 연구로 확인한 데 의미가 있다"면서 "연말이 가까워지면서 갑자기 음주량이 늘기 쉽지만, 최소한 이전 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주의해야 암을 예방하는 데도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 의사협회가 발행하는 국제학술지(JAMA Network) 최근호에 발표했다.

구재숙 기자 mhtoday01@naver.com
Copyright @문화투데이 Corp. All rights reserved.

(본사) 충북 충주시 신니면 신덕로 437 | TEL : 043-854-5952 ㅣ FAX : 043-844-5952 (서울본부) 서울시 영등포구 양평동4가 280-8(선유로 274) 3층 | TEL : 02-2671-0203 | FAX : 02-2671-0244 (충남본부) 충남 천안시 동남구 천안대로 553, 2층 (구성동 426-3) l TEL: 041-565-7081 l FAX 041-565-7083 등록번호 : 충북, 아00250 | 등록일 : 2021년 8월 13일 | 발행인·편집인 : 황재연 Copyright @문화투데이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