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만하면 비타민D 효과 떨어져

  • 등록 2023.01.25 09:14:25
크게보기

과체중이거나 비만하면 비타민D 보충제의 복용 효과가 떨어질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하버드 대학 브리검 여성병원 예방의학과의 데이르드레 토비아스 역학 교수 연구팀은 체질량 지수(BMI: body-mass index)가 높으면 비타민D가 온전히 흡수되지 않을 수 있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고 의학 뉴스 포털 메드페이지 투데이(MedPage Today)가 보도했다. 

   

BMI는 체중(㎏)을 신장(m)의 제곱으로 나눈 수치로 서방에서는 18.4 이하면 저체중, 18.5∼24.9면 정상, 25∼29.9는 과체중, 30∼34.9는 비만, 35∼39.9는 고도비만, 40 이상은 초고도 비만으로 분류된다. 

   

2010~2018년 진행된 암·심혈관 질환 예방을 위한 무작위 대조군 설정-이중맹(randomized, double-blind, placebo-controlled) 임상시험(VITAL)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나타났다고 연구팀은 밝혔다.

   

연구팀은 이 자료 가운데 비타민D의 암 예방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1만6천515명을 대상으로 진행된 임상시험 기록을 살펴봤다.

   

이들은 2,000IU(국제단위)짜리 비타민D가 투여되기 전 혈중 비타민D 수치가 저체중 그룹이 32.3 ng/mL, 정상 체중 그룹 32.3 ng/mL, 과체중 그룹 30.5 ng/mL, 비만 그룹 29.0 ng/mL, 고도비만 그룹 28ng/mL이었다.

   

이 중 2천742명은 비타민D를 복용하기 시작한 지 2년 후 다시 혈액 샘플을 채취, 혈중 비타민D를 재측정한 자료가 있었다. 

   

이 자료를 보면 BMI 25 이하 그룹은 비타민D 혈중 수치가 44 ng/mL, BMI 25~29.9 그룹은 41.2 ng/mL, BMI 30∼34.9 그룹은 39.4 ng/mL, BMI 35∼39.9 그룹은 37.9 ng/mL로 높아졌다. 

   

같은 용량의 비타민D 보충제를 복용했어도 BMI가 올라갈수록 혈중 비타민D 수치의 증가 폭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든 비타민D 복용자들은 우리 몸이 비타민D를 활용하는 데 도움을 주는 칼슘과 부갑상선 호르몬 같은 비타민D의 대사산물 수치도 증가했지만, BMI가 높은 그룹은 증가 폭이 상당히 적었다. 

   

이는 BMI가 높을수록 비타민D가 체내에서 제대로 대사되지 못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그 이유는 혈중 비타민D와 그 대사산물(metabolite)이 지방 조직으로 들어가 격리되면서 비타민D의 효과를 둔화시켰기 때문일 수 있다고 연구팀은 추측했다.

   

이 연구 결과는 '미국 의사협회 저널 네트워크 오픈'(JAMA Network Open) 최신호에 발표됐다.

- 기자 mhtoday01@naver.com
Copyright @문화투데이 Corp. All rights reserved.

(본사) 충북 충주시 신니면 신덕로 437 | TEL : 043-854-5952 ㅣ FAX : 043-844-5952 (서울본부) 서울시 영등포구 양평동4가 280-8(선유로 274) 3층 | TEL : 02-2671-0203 | FAX : 02-2671-0244 (충남본부) 충남 천안시 동남구 천안대로 553, 2층 (구성동 426-3) l TEL: 041-565-7081 l FAX 041-565-7083 등록번호 : 충북, 아00250 | 등록일 : 2021년 8월 13일 | 발행인·편집인 : 황재연 Copyright @문화투데이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