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뇌졸중 생존자 60%, 1년 내 인지기능 저하 겪어"

  • 등록 2023.05.09 08:26:14
크게보기

뇌졸중(뇌경색, 뇌출혈) 생존자는 최대 60%가 뇌졸중 후 1년 안에 인지기능 저하가 나타나는 것으로 밝혀졌다. 

    
미국 심장 협회(AHA: American Heart Association)가 지금까지 발표된 관련 임상시험, 전향적 연구, 후향적 연구, 실험군-대조군 연구 자료를 종합 분석한 결과, 이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AHA는 종합 분석 결과 발표를 통해 또한 이러한 인지기능 저하는 뇌졸중 후 첫 2주 안에 나타나는 경우가 가장 많았다고 밝혔다. 

    
뇌졸중 생존자의 약 40%는 치매 진단 기준에는 못 미치지만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지장애가 뇌졸중 후 1년 안에 나타난다는 사실도 밝혀졌다.

    
인지장애가 가벼운 경우는 최대 20%가 1년 안에, 대개는 6개월 안에 인지기능이 완전히 회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부분은 뇌졸중 이전의 인지기능 수준으로는 되돌아가지 못했다.

    
뇌졸중 후의 인지장애는 신체기능 장애, 수면장애, 행동·성격 변화, 신경심리학적 변화를 수반하는 경우가 많으며 이 모두는 삶의 질을 떨어뜨릴 수 있다고 AHA는 밝혔다.

    
뇌졸중 후의 인지장애는 기억력, 사고력, 기획력, 언어기능, 주의력, 운전 기능, 일상생활 능력 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AHA는 지적했다.

    
현재 뇌졸중 후에 사용하는 표준 인지기능 검사는 없지만 '간이 정신상태 검사'(Mini-Mental State Examination)와 '몬트리올 인지 평가'(Montreal cognitive assessment) 같은 30분이면 할 수 있는 간단한 검사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고 AHA는 밝혔다.

    
뇌졸중 초기 입원 치료 단계에서 인지기능 저하를 일찍 발견하는 것이 즉각 진료 계획을 세울 수 있어서 중요하지만, 시간이 가면서 인지기능의 변화를 추적 평가하는 것도 매우 중요하다고 AHA는 강조했다.     

    
뇌졸중 후 인지장애가 발견되면 전문의가 환자의 일상생활 기능을 살펴보면서 행동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뇌 부위들에 대한 신경심리 검사(neuropsychological screening)를 진행하는 것이 인지기능 상태를 정확히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AHA는 권고했다.

    
이 발표는 AHA가 뇌졸중 관련 활동을 추가하기 위해 설립한 미국 뇌졸중 협회(American Stroke Association) 학술지 '뇌졸중'(Stroke) 최신호에 실렸다.
 

- 기자 mhtoday01@naver.com
Copyright @문화투데이 Corp. All rights reserved.

(본사) 충북 충주시 신니면 신덕로 437 | TEL : 043-854-5952 ㅣ FAX : 043-844-5952 (서울본부) 서울시 영등포구 양평동4가 280-8(선유로 274) 3층 | TEL : 02-2671-0203 | FAX : 02-2671-0244 (충남본부) 충남 천안시 동남구 천안대로 553, 2층 (구성동 426-3) l TEL: 041-565-7081 l FAX 041-565-7083 등록번호 : 충북, 아00250 | 등록일 : 2021년 8월 13일 | 발행인·편집인 : 황재연 Copyright @문화투데이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