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년기 매운음식은 인지기능 저하 부를수도

  • 등록 2023.05.31 09:14:14
크게보기

동탄성심병원 연구팀 196명 분석…"신체활동 활발하면 부작용 상쇄 효과"

요즘 매운 음식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고 있다. 하지만 매운 음식이 건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진 게 많지 않다.

    
고추의 매운맛을 내는 캡사이신 성분을 너무 많이 섭취하면 암 발생이 촉진될 수 있다거나, 매운 음식을 좋아하는 사람이 스트레스에 취약하다는 등의 연구 결과가 일부 발표됐지만 아직 의학적인 근거 수준은 높지 않은 편이다.

   
 특히 많은 사람이 매운 음식을 먹었을 때 뇌 건강에 미치는 영향을 궁금해하지만, 그 연관성도 명확하지 않다.

    
이런 가운데 노년에 매운 음식을 즐겨 먹는 식습관이 인지기능 저하를 부를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제시됐다.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츠'(Scientific Reports) 최신호에 따르면 한림대의대 동탄성심병원 정신건강의학과 김지욱 교수 연구팀은 65∼90세 노인 196명을 대상으로 매운 음식 섭취가 치매(알츠하이머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이런 연관성이 관찰됐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노인 중 113명은 인지기능이 정상이었고, 나머지 83명은 치매는 아니지만 경도인지장애로 평가됐다.

    
연구팀은 이들 노인이 1년 동안 주 1회 이상 먹었던 음식을 매운 강도에 따라 '매운 맛 없음'(93명), '낮은 매운맛'(58명), '높은 매운맛'(45명)으로 나눠 알츠하이머병 관련 초기 인지기능 변화로 알려진 '삽화기억' 감퇴 사이의 연관성을 평가했다.

    
삽화기억이란 개인적으로 경험한 일이 시간과 공간의 맥락에서 기억되는 것을 말한다. 이를테면 집 열쇠를 언제 어디에 두었는지를 기억하는 식이다.

    
이 결과, 높은 매운맛 섭취 그룹에서 초기 인지기능 변화로 볼 수 있는 기억 손상 소견이 관찰됐다. 반면 낮은 매운맛 섭취 그룹과 매운맛 없음 그룹에서는 이런 손상 소견이 없었다.

    
매운 음식과 인지기능 저하 사이의 이런 연관성은 신체활동이 낮은 그룹에서 더 두드러지는 점도 확인됐다.

    
연구팀은 고용량의 캡사이신 섭취가 신경독성을 유발한다는 동물실험이나, 매운 고추 섭취량이 많을수록 인지기능이 낮아진다는 외국의 연구 결과와 이번 연구의 맥락이 일치하는 것으로 평가했다.

    
또 평소 매운맛을 즐기더라도 신체 활동이 활발하면 다양한 체내 메커니즘을 통해 신경 독성으로부터 뇌를 보호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연구팀은 덧붙였다.

    
김지욱 교수는 "치매가 없는 노인에서 높은 매운맛 섭취에 따른 인지기능 저하에 관한 임상적 근거를 제시한 데 의미가 있다"면서 "다만, 매운맛이 덜하거나 순한 매운맛은 인지기능 저하와 연관성이 없었다는 점을 평소 식생활에 참고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기자 mhtoday01@naver.com
Copyright @문화투데이 Corp. All rights reserved.

(본사) 충북 충주시 신니면 신덕로 437 | TEL : 043-854-5952 ㅣ FAX : 043-844-5952 (서울본부) 서울시 영등포구 양평동4가 280-8(선유로 274) 3층 | TEL : 02-2671-0203 | FAX : 02-2671-0244 (충남본부) 충남 천안시 동남구 천안대로 553, 2층 (구성동 426-3) l TEL: 041-565-7081 l FAX 041-565-7083 등록번호 : 충북, 아00250 | 등록일 : 2021년 8월 13일 | 발행인·편집인 : 황재연 Copyright @문화투데이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