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후 저가 식료품 30∼90% 더 올라

  • 등록 2024.07.14 09:01:53
크게보기

NBER 연구 결과, 주요국에서 저가 브랜드 가격 상승률이 더 높아

팬데믹(전염병의 세계적 대유행) 이후 인플레이션이 심화하는 동안 값이 싼 식료품이 더 많이 올랐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최근 코로나19 사태 후 미국, 영국 등 주요 9개국 식료품 가격 상승률을 가격대별로 분석한 전미경제연구소(NBER) 보고서를 소개했다. 

    
지난주 나온 이 보고서는 가격대 최상위 25%와 최하위 25%인 식료품을 대상으로 2020년 1월부터 204년 5월 사이 누적 물가 상승률을 살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저가 브랜드 식료품의 가격이 고가 브랜드에 비해 1.3∼1.9배 빠르게 올랐다.

    
가령 미국은 이 기간 저가 식료품 가격이 30% 올랐는데 고가 브랜드의 가격은 22% 상승해서 8%포인트 차이가 났다. 

    
즉, 저가 식료품 가격 상승률이 약 36% 더 높았다.

    
전체 식료품 가격 상승률은 26%였다.

    
영국은 저가-고가 식료품 사이의 물가 상승률 차가 6%포인트로 조사 대상 중에 가장 작았다. 

    
반면 독일, 이탈리아, 네덜란드는 14%포인트에 달했고, 저가 식료품 가격 상승률이 약 90% 더 높았다.

    
FT는 값싼 물건 가격이 더 많이 오른다는 소위 '칩플레이션'(Cheapflation)이 세계적 현상임이 이번 연구에서 확인됐다고 말했다.

    
이는 지난 2022년 영국의 요리사 겸 빈곤퇴치 운동가인 잭 먼로가 소셜미디어에 화두를 던지며 주목받았다.

    
그는 영국에서 저가 브랜드 식료품 가격이 평균보다 빨리 올라서 형편이 어려운 사람들이 더 힘들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많은 이들이 먼로의 의견에 반박했고, 영국 통계청도 몇달 후 조사 방식을 일부 손 봤지만 저가 식료품 가격이 더 많이 오른 문제는 나오지 않았다고 FT가 전했다.

    
FT는 이번 보고서에 사용된 데이터는 영국 통계청 자료보다 훨씬 광범위하다고 말했다.

    
저자 중 한 명이 개인 데이터 제공업체의 공동 설립자이기 때문에 2018∼2024년 사이 91개 멀티채널 유통업체에서 판매되는 210만개 이상 제품의 단위 가격을 확보할 수 있었다는 것이다.

    
저자들은 소비자가 저가 브랜드로 바꿔서 비용을 절감하더라도 결국 이 브랜드가 가격을 더 빨리 올리기 때문에 알뜰 소비 효과가 줄어든다고 말했다. 

    
저가 브랜드 가격 상승률이 더 빠른 이유에 관해선 공급 측면에선 가격 인상 요인을 흡수할 여지가 없어서 바로 반영해야 하고, 수요 측면에선 소비자는 실질소득 감소 등으로 인해 더 많이 찾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들은 또 전체 인플레이션이 코로나19 전 수준으로 돌아온 후에도 저가 브랜드의 가격이 더 높은 상태로 유지됐다고 말했다.

- 기자 mhtoday01@naver.com
Copyright @문화투데이 Corp. All rights reserved.

(본사) 충북 충주시 신니면 신덕로 437 | TEL : 043-854-5952 ㅣ FAX : 043-844-5952 (서울본부) 서울시 영등포구 양평동4가 280-8(선유로 274) 3층 | TEL : 02-2671-0203 | FAX : 02-2671-0244 (충남본부) 충남 천안시 동남구 천안대로 553, 2층 (구성동 426-3) l TEL: 041-565-7081 l FAX 041-565-7083 등록번호 : 충북, 아00250 | 등록일 : 2021년 8월 13일 | 발행인·편집인 : 황재연 Copyright @문화투데이 Corp.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