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21 (월)

  • 맑음동두천 18.3℃
  • 맑음강릉 16.0℃
  • 구름조금서울 18.3℃
  • 구름조금대전 20.3℃
  • 흐림대구 14.9℃
  • 흐림울산 14.5℃
  • 구름조금광주 19.9℃
  • 맑음부산 16.8℃
  • 구름많음고창 20.9℃
  • 맑음제주 20.0℃
  • 구름많음강화 17.6℃
  • 맑음보은 16.8℃
  • 구름많음금산 18.8℃
  • 흐림강진군 16.9℃
  • 맑음경주시 15.6℃
  • 구름많음거제 15.1℃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경제

문화재청, 문화재 화재위험 첨단기술로 사전 예방한다

기존 CCTV 영상화면에 화재 신호 표출기능 구현

문화재청(청장 나선화)은 문화재현장에 설치된 CCTV(폐쇄회로 TV)와 화재감지기를 별도의 추가 장비 없이 연동시키는 기술을 도입‧보급하여 화재 등 비상상황에 대해서 신속한 상황전파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예정이라고 17일 밝혔다.


문화재청은 2008년부터 중요목조문화재의 화재를 감지하면 소방서로 바로 연락이 가도록 자동화재 속보설비를 설치해오고 있다. 또한, 현장마다 CCTV를 두어 영상으로도 점검할 수 있으나 영상화면에 화재 신호 표출기능이 없어 비상시에 재빠른 상황파악이 힘든 상태였다. 화재감지가 가능한 최신기능을 도입하기 위해서는 기존설비를 교체해야 하는 데 사용 가능 연도가 남아 있는 기존 장비를 철거할 경우 예산 낭비가 우려되어 시행이 어려웠다.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문화재청은 지난 7~9월 소방ㆍ통신 전문가로 구성된 특별 전담반을 구성하여 기술적 검토와 현지조사를 벌였다. 그 결과, 기존설비를 전부 교체하거나 별도의 추가 장비 도입 없이 소방 장비와 통신 장비의 연계를 통해 기존 CCTV와 감지설비를 연동시켜 영상화면에서 화재 신호를 띄우는 기술을 검증하고 현장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소방ㆍ통신 장비 연계가 완료되면 문화재 영상을 점검하면서 화재 신호를 동시에 확인할 수 있어 문화재 화재 시 가장 중요한 초기대응 시간을 단축하고 기존장비 교체예산을 약 70억 원 절감할 수 있을 전망이다.


문화재청은 각 분야 전문가들의 검토와 검증을 통해 완성된 장비구축 계통도를 지방자치단체에 즉시 통보하고 이를 방재시스템 개선사업 추진 시에 반영하도록 하여 아직 사용기한이 남은 방재 장비를 최대한 활용하면서도 꼭 필요한 첨단기능은 도입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또한, 이 기술이 확대 정착될 수 있도록 지방자치단체 담당자 교육 등을 꾸준히 시행해나갈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