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투데이 = 조성윤 기자]지난 2017년 11월에 발생한 규모 5.4의 포항지진이 인근 지열발전소 때문에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는 공식 연구 결과가 나왔다.
조금전에 국내외 연구자들이 포함된 정부조사단이 발표한 조사결과 내용이다.
대한지질학회는 오늘 오전 서울 중구 한국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포항지진 정부조사연구단의 연구결과를 발표했다.
연구단에 참여한 해외조사위원회는 "지열발전을 위해 주입한 고압의 물이 이전에 알려지지 않은 단층대를 활성화해 포항지진 본진이 촉발됐다"고 밝혔다. 지열발전은 지하 4㎞ 이상 깊이에 구멍을 뚫어 고압의 물을 주입해 지열로 데운 다음 여기서 나온 수증기를 빼내 발전기 터빈을 돌려 전기를 생산한다.
조사단은 지열발전소 부지에서 반경 5km 이내, 진원 깊이 10km 지점을 기준으로 98개 지진 목록을 분석한 결과를 토대로 이 같은 지열발전방식이 지진에 영향을 줬다는 결론을 설명했다.
포항지진은 2016년 9월 경북 경주에서 발생한 규모 5.8의 지진에 이어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지진 중 역대 두 번째로 컸던 지진으로 기록됐다. 지금까지 포항지진 원인을 두고, 인근 지열발전소로 인해 발생했다는 의견과 자연 발생이라는 의견이 대립해 왔다.
산업통상자원부는 포항지진과 지열발전과의 상관관계를 조사하기 위해 국내외 전문가로 구성된 '포항지진 조사연구단'을 구성하고, 지난해 3월부터 약 1년 동안 정밀조사를 진행해 왔다.
포항 시민들은 국가와 지열발전소에 위자료를 달라는 소송과 함께 지열발전소 중단 가처분 신청을 낸 상태로 오늘 발표 내용이 관련 소송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