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0.24 (금)

  • 흐림동두천 15.1℃
  • 흐림강릉 15.7℃
  • 흐림서울 16.5℃
  • 흐림대전 19.4℃
  • 흐림대구 19.1℃
  • 흐림울산 19.5℃
  • 흐림광주 22.1℃
  • 흐림부산 21.7℃
  • 구름많음고창 23.2℃
  • 맑음제주 26.3℃
  • 흐림강화 15.4℃
  • 흐림보은 18.0℃
  • 구름많음금산 19.7℃
  • 흐림강진군 23.0℃
  • 흐림경주시 18.6℃
  • 흐림거제 21.8℃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정치

"생필품 중 정량 표시량보다 적은 상품 5개 중 1개꼴"

김원이 "소비자 신뢰 회복 위해 법 개정·전담기관 지정 필요"

[문화투데이 김태균 기자] 정량을 표시하고 판매해야 하는 생활필수품 중 실제 내용물이 표시량보다 적은 상품이 5개 중 1개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법적 허용오차를 피하면서도 교묘히 실량을 줄인 제품이 다수인 것으로 나타나 형식적 규제를 넘는 실질적 제도개선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됐다.

 

22일 더불어민주당 김원이(산자위 간사·전남 목포시) 의원이 산업통상부로부터 제출받은 '정량표시상품 내용량 조사 현황'에 따르면 최근 5년간(2020∼2024년) 조사된 제품 1만3천410개 중 3천18개(22.5%)는 내용량이 표시량보다 부족한 '과소실량' 제품으로 드러났다.

 

그중에 법적 허용오차 내에 있지만, 평균적으로 적게 채운 '적합 과소실량'은 2천827개로 21.1%에 이르렀다.

 

특히 액화석유가스(47.4%), 꿀(37.5%), 도료(37.1%), 윤활유(30%) 등 품목에서 과소 평균실량 비중이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그러나 산업통상부 소속 국가기술표준원이 시행 중인 '시판품 조사'는 연간 1천개 품목에 불과하고 2025년 예산은 1억4천800만 원에 불과하다.

 

작년 기준 중국(2만 1천 개), 일본(16만 개), 호주(23만 6천 개) 등 해외와 비교하면 터무니없이 낮은 수준이다.

 

시판품 조사를 담당하는 계량협회는 법적 조사 의무만 부여돼 있고 제도 전반을 총괄할 전담기관은 존재하지 않는다.

 

김원이 의원은 "정량표시제도는 단순한 계량의 문제가 아니라 소비자보호와 직결되는 신뢰의 문제다"면서 "평균량 규제를 법제화하고 시판품 조사 예산을 확대 및 전담기관 지정을 통해 국민 신뢰에 부응하는 제도개선이 시급하다"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