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15 (화)

  • 구름조금동두천 14.1℃
  • 맑음강릉 15.2℃
  • 맑음서울 13.1℃
  • 구름많음대전 13.1℃
  • 구름조금대구 13.8℃
  • 맑음울산 13.0℃
  • 맑음광주 14.1℃
  • 맑음부산 15.1℃
  • 맑음고창 11.9℃
  • 맑음제주 14.1℃
  • 맑음강화 12.1℃
  • 구름많음보은 12.0℃
  • 구름많음금산 12.4℃
  • 맑음강진군 14.5℃
  • 맑음경주시 14.2℃
  • 맑음거제 14.7℃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경제

서민 애용 편의점, 1천원짜리로 살 게 없다

컵라면 작은컵 1100원·삼각김밥 1500원 안팎…2천원대 과자도 등장
지갑 얇은 소비자 겨냥 가성비 PB 제품 강화…1천원 미만 상품 주력

 

[문화투데이 구재숙 기자] 최근 물가 급등으로 편의점에서 1천원을 들고 작은 컵라면이나 삼각김밥으로 출출한 배를 달래던 시절은 옛말이 됐다.

 

지난 12일 GS25와 CU 편의점에서 1천원짜리 한 장으로 살 수 있는 컵라면이나 삼각김밥, 과자, 음료는 찾기 힘들었다. 1천원으로 구매할 수 있는 것은 오리온 마이구미, 크라운 새콤달콤 등 젤리나 캐러멜 일부 제품 정도다.

 

편의점에서 오뚜기 진라면과 스낵면 작은컵은 지난 1일부터 1천원에서 1천100원이 됐다. 농심 육개장사발면과 김치사발면 작은컵도 1천100원으로 100원 올랐다.

 

농심 신라면과 너구리, 튀김우동, 새우탕 작은컵은 1천250원이 됐고 오뚜기 참깨라면 작은컵은 1천400원으로 올랐다. 신라면 큰사발은 1천500원이고 더레드 큰사발은 1천800원이다.

 

삼각김밥도 가장 싼 제품이 1천원이 넘는다. GS25와 CU의 참치마요 삼각김밥 가격은 1천100원이다. 이들 업체는 지난해 김값 상승 등을 이유로 삼각김밥 가격을 올렸다.

 

한 편의점 관계자는 13일 "삼각김밥이라면 900∼1천원 정도로 기억하는 사람들이 많지만 지금 평균 가격대는 1천500원 내외에 이른다"고 말했다.

 

일부 삼각김밥 제품은 2천원이 넘었고, 핫바 가격은 보통 2천500원 안팎이다.

 

과자는 오리온 포카칩·꼬북칩, 롯데웰푸드 꼬깔콘·빠다코코낫, 빙그레 꽃게랑, 농심 먹태깡·바나나킥·양파링, 해태 허니버터칩·에이스 등 1천700원짜리가 많다.

 

초콜릿 원료인 코코아 가격 급등 이후 해태 홈런볼은 1천900원으로 올랐고 롯데웰푸드 빼빼로는 최근 2천원 시대를 맞았다.

 

한 식품업체 관계자는 "원자재 가격이 많이 올랐고 환율 상승으로 원가 부담이 커져 가격 인상이 불가피했다"고 말했다.

 

동서식품이 판매하는 오레오는 작년 말 2천200원으로 200원 올랐다.

 

오리온 비쵸비는 3천600원이며 농심켈로그가 수입 판매하는 프링글스 가격은 4천원에 이른다.

 

'껌값'도 이미 2년 전 1천원을 넘었다. 롯데웰푸드의 자일리톨, 후라보노, 쥬시후레쉬, 후레쉬민트, 스피아민트는 각각 1천200원이다.

 

아이스크림은 빙그레 메로나, 롯데웰푸드 죠스바와 스크류바, 해태아이스크림 쌍쌍바 등이 1천500원이다. 죠스바, 스크류바 등은 3년 전만 해도 절반 수준인 800원이었다.

 

음료나 우유, 생수 등 마실거리도 1천원 미만은 거의 없다.

 

'국민 피로 회복제' 박카스는 지난해 편의점에서 100원 올라 1천원이 됐으며 비타500원은 최근 1천100원으로 인상됐다.

 

지난해 가격이 오른 코카콜라와 칠성사이다는 250㎖짜리가 각각 1천700원이고 350㎖ 제품은 2천100원이다.

 

캔 커피 중 가장 저렴한 롯데칠성음료 레쓰비는 1천200원이다.

 

우유는 서울우유 나100%, 남양유업 맛있는우유GT 200㎖가 각각 1천200원이다.

 

생수는 1∼2위인 제주개발공사 삼다수와 롯데칠성 아이시스가 2023년 1천100원으로 뛰었고, 농심 백산수는 지난해 말 1천원으로 올랐다.

 

오비맥주 카스 355㎖는 이달에 2천500원으로 250원 인상됐다.

 

소주는 하이트진로 참이슬과 롯데칠성 처음처럼이 나란히 1천900원이다.

 

편의점 업계는 고물가 시대에 가성비를 중시하는 소비자가 지속해 늘고 있다고 말한다.

 

GS25는 1천원 이하 상품의 전년 대비 매출 증가율이 2022년 29%, 2023년 32%, 지난해 47% 등으로 매년 높아졌다.

 

CU에서도 1천원 이하 상품 매출 증가율은 2021년 10%에서 물가 급등기인 2022년 23%로 껑충 뛰었고 지난해 30%까지 높아졌다.

 

편의점들은 먹거리 물가 급등에 부담을 느끼는 소비자를 겨냥해 1천원 이하 자체 브랜드(PB) 제품을 강화하고 있다.

 

GS25는 550원짜리 봉지라면인 리얼소고기라면을 지난해 10월 출시해 판매량 60만개를 돌파했다. 500∼800원짜리 리얼프라이스 아이스크림은 지난해 8월 이후 판매량이 200만개가 넘었다.

 

GS25는 컵라면 면왕과 1974 우유 200㎖, 리얼천냥콩나물도 1천원 이내로 내놨다.

 

또 지난달부터 자체 브랜드 카페25의 따뜻한 아메리카노를 1천원으로 300원 할인 판매하는데 점포별 하루 평균 판매량이 전달보다 44% 늘고 전년 같은 달보다 18% 증가했다.

 

CU는 2021년 선보인 초저가 득템 시리즈가 지난달 누적 판매량 6천만개를 넘어섰다.

 

CU는 지난해 선보인 880원 육개장 컵라면과 990원 스낵이 각각 누적 판매량 120만개, 100만개를 돌파했고 빙그레와 협업해 내놓은 990원 우유는 350만개가 팔렸다.

 

CU는 990 시리즈를 양파, 대파, 마늘, 당근 등 식재료까지 확대해 990원 채소 9종도 선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