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투데이 황재연 기자] 55세부터 79세까지 고령층 경제활동인구가 1천만명을 돌파했다.
고령층 약 70%는 계속 일하고자 했으며 생활비가 주된 이유였다. 이들은 평균 73.4세까지 일하기를 원했다.
고령층 절반만 연금을 받고 있고, 그나마도 금액이 월 평균 약 86만원으로 최소 생활비에 턱 없이 못 미쳤다.
통계청은 6일 이런 내용의 '2025년 5월 경제활동인구조사 고령층 부가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고령인구가 늘어나며 이들의 경제활동참가율, 고용률도 높아지고 있다.
올해 5월 기준 고령층(55∼79세) 인구는 1천644만7천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46만4천명 증가했다. 15세 이상 인구의 36.0%를 차지한다.
고령층 경제활동인구(취업자+실업자)는 1천1만명으로 1년 전보다 32만8천명 늘어나며 2005년 관련 통계 집계 이래 처음 1천만명대를 진입했다.
고령층 취업자는 978만명으로 작년 같은 달보다 34만4천명 증가했다.
고령층 경제활동참가율과 고용률은 각각 60.9%, 59.5%로 작년보다 각각 0.3%포인트(p), 0.5%p 상승했다. 모두 역대 최고 수준이다.
산업별로 고령층 취업자는 주로 보건·사회·복지(13.7%), 제조업(12.5%)에 많았다.
직업별 비율로는 단순 노무 종사자(22.6%), 서비스 종사자(14.5%)에서 높고 관리자(2.1%), 사무 종사자(8.3%)에서는 낮았다.
대부분 생애 주된 일자리에서는 계속 일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고령층 중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에서 지금도 근무하고 있는 사람의 비율은 30.1%, 그만둔 사람의 비율은 69.9%로 나타났다.
그만 둘 때 나이는 평균 52.9세다.
가장 오래 근무한 일자리를 그만둔 이유는 사업 부진ㆍ조업 중단ㆍ휴업·폐업(25.0%), 건강이 좋지 않아서(22.4%), 가족을 돌보기 위해(14.7%) 순으로 높았다.
고령층의 연금 수령액은 월 100만원에 못 미치고, 노동시장에는 더 머물기를 원하는 추세다.
지난 1년간 연금 수령자는 850만2천명으로 고령층의 51.7%를 차지했다.
이들의 월평균 연금 수령액은 86만원에 그쳤다.
이는 국민연금연구원이 작년 12월 발표한 1인 기준 노후 최소생활비 136만1천원의 63%에 불과한 수준이다.
고령층이 연금만으로는 생계유지가 어려워 계속 일할 수밖에 없는 구조라는 해석이 나온다.
고령층 중 가운데 장래에 일하기를 원하는 사람은 1천142만1천명으로 전체의 69.4%를 차지한다. 10명 중 7명은 계속 일하기를 희망한다는 것이다.
근로 희망 비율은 역대 최고치였던 작년과 같았다.
장래 근로를 희망하는 고령층의 근로 희망 연령은 평균 73.4세로 집계됐다. 1년 전보다 0.1세 상승하며 2011년 관련 통계 집계 이래 가장 높았다.
근로 희망 사유로는 '생활비에 보탬'이 54.4%로 1위를 기록했다.
일하는 즐거움(36.1%)이 뒤를 이었으며 무료해서(4.0%), 사회가 필요로 함(3.1%), 건강 유지(2.3%) 등 사유도 있다.
희망하는 월평균 임금수준은 300만원 이상(21.5%), 200만∼250만원 미만(19.4%) 순으로 많다. 300만원 이상 구간이 작년보다 2.2%p 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