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투데이 장은영 기자] 정부의 기후대응댐 후보지 가운데 하나인 충남 부여·청양의 지천댐 건설을 놓고 찬반 갈등이 이어지는 가운데, 수몰 예정지역 일부 주민들이 7일 "댐 건설을 조속히 추진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댐 건설 찬성 측 부여·청양 주민 300여명(주최 측 추산)은 이날 오후 청양 지천 까치내유원지에서 집회를 열고 "부여·청양은 반복되는 홍수와 가뭄, 수질오염 등으로 인한 물 문제 해결이 시급한 상황"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주민들은 댐이 건설되면 수몰되는 청양 장평면 죽림리·지천리·작천리, 부여 은산 지역에 거주하고 있다.
이들은 전국 농촌이 직면한 인구 감소와 지역소멸 등의 문제를 해결하고 기업유치 등을 위해 지천댐 건설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죽림리에서 온 한 주민(59)은 "충남 발전을 위해 기본적으로 물이 있어야 한다. 정치적인 입장이 다르다고 반대할 일이 아니다"라며 "10년 뒤 3만명인 청양 인구 절반이 사라지고 고향도 없어질 판인데, 물이 있어야 기업을 유치할 수 있고 그에 따른 인구 증가도 기대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부여 은산에서 온 주민(70대)도 "환경단체는 여기 지천의 물이 좋다고 하지만, 현실을 모르고 하는 소리"라며 "지금 지천은 더러워서 사람이 찾지 않는 곳이 됐다. 실제 살고 있는 주민과 수몰 예정지 주민 대부분은 댐 건설을 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지천은 칠갑산에서 발원해 청양 시내를 거쳐 부여 백마강으로 흘러 들어간다.
주민들은 댐 건설을 반대하는 상류 지역에서 오염원이 대거 유입돼 지천의 수질오염이 심각해졌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성우 지천댐 추진위원장은 "청양 시내에서 나오는 생활 폐수와 남양면 일대 축산 폐수가 지천으로 유입되면서 지금은 똥물이 됐을 정도로 수질오염이 심각한 상황"이라며 "극렬히 반대하는 쪽 일부는 댐이 완공되면 환경 규제가 심해져 각종 폐수를 몰래 버리는 게 금지될까 봐 저런다"고 꼬집었다.
지천댐 반대 측 주민들도 이날 청양 시내에서 댐 건설 백지화를 위한 주민 홍보전을 펼쳤다.
한편, 지난해 7월 청양군 장평면과 부여군 은산면 일원에 저수용량 5천900만㎥ 규모의 지천댐을 건립하겠다는 환경부 발표 이후 지역에서는 찬반 의견이 엇갈리고 있다.
충남도는 현재 주민 의견 수렴과 전문가 자문 등을 위해 청양 주민 3명, 부여 주민 6명, 전문가 4명, 도와 청양군, 부여군 관계자 3명 등 모두 16명으로 구성된 지천댐 지역협의체를 구성해 운영하고 있다.
댐의 필요성, 위치, 규모 등을 검증하는 기본 구상 연구용역은 이르면 오는 8월께 마무리될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