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투데이 장은영 기자] 세종시는 728조원 규모의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 이 지역 관련 국비로 1조7천279억원 반영됐다고 1일 밝혔다.
올해 편성된 국비와 비교해 1천478억원(9.4%) 증가한 수준이다.
세종시는 이번 정부 예산안에 행정수도 관련 사업, 한글문화도시 조성사업, 시민 안전·편의사업 등이 고루 반영되면서 시정 4기 역점 사업 추진에 탄력이 붙을 것으로 전망했다.
우선 내년 정부 예산안에 세종시를 행정수도로 완성하는데 필수 기관으로 꼽히는 국회세종의사당과 대통령세종집무실 건립에 필요한 초기 예산으로 956억원·240억원이 각각 반영됐다.
서울에 있는 양 기관을 세종시로 완전 이전하는 상황을 염두에 두고 내년 예산 규모가 대폭 증액된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현재까지 세종의사당을 건립하는 비용으로 모두 2천153억원의 국비를 편성했다.
금강 북측 제방을 따라 세종시 도심을 통과하는 국지도 96호선의 일부 구간에 지하차도를 신설하기 위한 사전 타당성 조사 용역비 3억원도 내년 예산에 포함됐다.
국지도 96호선은 향후 대통령 집무실과 국회 세종의사당이 들어서면 주요 진입도로로 활용되기 때문에 도심 하천인 제천과 금강 본류가 합류하는 지점 지하화가 꼭 필요한 상황이다.
또 국립민속박물관(154억원), 유네스코 세계유산 국제 해석설명센터(23억원), 국립박물관단지(492억원) 등의 사업비도 내년 정부 예산에 포함됐다
한글 문화 도시 관련 국비도 편성됐다.
정부 차원에서 '한글문화도시 조성' 정책연구비 3억원과 한글 교육을 일원화한 '한글문화 교육센터' 운영비 5억원이 각각 반영됐다.
세종시는 교육, 연구, 문화, 예술, 관광, 산업 등을 집약한 한글문화단지를 조성해 국정 과제인 K-컬쳐 글로벌 브랜드화를 앞당기는 데 일조하겠다고 밝혔다,
시민 안전·편의 증진을 위한 사업으로 친환경종합타운 설계비 3억원, 운전면허시험장 설계비 9억원, 자율주행버스 레벨4 고도화 사업비 15억원, 스마트빌리지 개발·보급 사업비 18억원 등이 정부 예산안에 담겼다.
다만, 세종지방법원·검찰청 예산은 한국개발연구원에서 현재 사전 타당성 연구가 진행되고 있어 내년 정부 예산안에는 반영되지 않았다.
세종시는 "정부 예산안에 반영된 지역 현안 사업이 국회 심의 단계에서 예산이 감액되지 않게 정치권에 협조를 요청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