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화투데이 황재연 기자] 지난해 우리 국민이 병의원이나 약국 등에서 쓴 '개인 의료비'가 200조원에 육박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인 의료비를 포함한 지난해 전체 '국민의료비'는 처음으로 210조원을 넘었다.
1일 보건복지부의 국민보건계정에 따르면 지난해 개인 의료비는 196조6천380억원(잠정)으로 집계됐다.
개인 의료비(Personal Health Expenditure)는 집합보건의료비(Collective Health Expenditure)와 함께 '국민의료비'를 구성한다.
개인 의료비는 개인에게 직접 주어지는 서비스 혹은 재화에 대한 지출을 뜻하는 것으로, 흔히 병의원 등 의료기관이나 약국에서 발생한 지출이다.
반면 집합보건의료비는 예방 및 공중보건사업이나 보건행정관리를 위한 지출로, 공중을 대상으로 발생한다.
복지부에 따르면 국민의료비는 2022년 205조4천880억원에서 2023년 203조4천200억원으로 한 차례만 줄었을 뿐, 1970년 이래 매년 최고치를 경신해왔다.
지난해 국민의료비(213조1천90억원)는 처음으로 210조원을 넘겼다. 1인당 의료비는 처음으로 400만원대로 올라서 412만1천원(이상 잠정치)으로 집계됐다.
연세대·한국보건사회연구원 등 국민보건계정 연구진은 "1970년대 연평균 33.8%의 증가율을 보이던 의료비는 1980년대 19.7%, 1990년대 14.0%, 2000년대 12.2%, 2010년대 8.2%, 2020년대 6.7%로 증가 폭이 둔화했다"며 "과거보다 증가 폭이 작아졌지만, 같은 기간 일반 경제의 성장률과 비교하면 여전히 높은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작년 국민의료비 가운데 개인 의료비가 92.3%를 차지했다.
개인 의료비는 1970년에 680억원으로 시작해 50여년 만인 지난해 무려 2천892배로 불었다.
또 개인 의료비는 1970년 이후 45년 만인 2015년(105조120억원)에야 처음으로 100조원을 넘겼는데, 이후 9년 만에 거의 2배로 늘었다.
지난해 개인 의료비를 항목별로 보면 입원(69조3천350억원), 외래(67조9천620억원), '의약품 등'(42조7천380억원) 순으로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