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투데이 장은영 기자] 대전시와 충남도는 3일 국회 도서관 대강당에서 대전과 충남의 행정통합 물꼬를 트기 위한 본격적인 여론전에 나섰다.
성일종·장동혁 의원과 TJB 대전방송이 공동 주최하고 대전시와 충남도가 공동 주관한 이날 토론회에는 이장우 대전시장과 김태흠 충남도지사, 인요한·진종오·이달희·김성원 의원 등 350여명이 참석했다.
이장우 시장은 환영사에서 "행정통합은 수도권 일극 체제를 극복하고 충청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시대적 소명"이라며 "특별법이 통과되면 중앙정부로부터 권한과 재정을 대폭 이양받아 준연방 수준의 지방정부를 구현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김태흠 지사도 "대전과 충남이 먼저 행정통합의 물꼬를 트겠다"며 "행정안전위원회에 회부된 행정통합 특별법이 조속히 통과될 수 있도록 힘을 모아 달라"고 말했다.
김 지사는 "대전·충남의 통합은 단순한 행정구역 조정이 아니라 대한민국 미래 100년을 이끌어갈 지방자치의 롤모델"이라고 강조했다.
두 시도의 행정통합 논의는 '충청권 광역경제권' 구축 구상과 맞물려 있다.
대전과 충남이 통합될 경우 행정·산업·연구 기능이 결집하는 '메가 충청권'의 거점이 가능하다는 판단이다.
이날 토론회에서 정재근 대전·충남 행정통합 민관협의체 공동위원장은 '국가 균형발전과 충청권의 실천'을 주제로 한 기조강연에서 지역 주도의 자율적 통합이야말로 진정한 지방분권의 출발점이라는 점을 강조했다.
이창기 공동위원장의 사회로 진행된 토론회에서는 홍준현 중앙대 공공인재학부 교수, 전성만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지방재정연구센터장, 고승희 충남연구원 사회통합연구실장, 이수복 TJB 기자 등이 참여해 초광역 거버넌스 구축의 현실적 과제와 제도적 보완 방안을 논의했다.
앞서 성일종 의원은 지난 9월 '대전충남특별시 설치 및 경제과학수도 조성을 위한 특별법안'을 대표 발의했다.
장동혁 의원 등 국민의힘 의원 45명이 공동발의에 참여했으나 더불어민주당 의원들은 이름을 올리지 않았다.
특별법안은 '대한민국 경제과학수도 대전충남특별시'라는 비전을 내세우며 각종 특례 조항을 담은 296개 조문과 부칙으로 구성됐다.
대전과 충남이 생활권·경제권·교통망을 사실상 공유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해 행정체계 통합과 지방분권 강화, 신성장동력 확보를 목표로 내세웠다.
대전시와 충남도는 여야와 국민 공감대 확산을 위한 활동과 함께 특별법의 국회 본회의 통과를 위해 행정력을 집중한다는 방침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