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09 (일)

  • 구름조금동두천 9.3℃
  • 맑음강릉 15.1℃
  • 맑음서울 12.3℃
  • 박무대전 11.7℃
  • 맑음대구 13.9℃
  • 흐림울산 12.5℃
  • 맑음광주 14.0℃
  • 흐림부산 13.0℃
  • 맑음고창 14.2℃
  • 흐림제주 16.7℃
  • 맑음강화 13.2℃
  • 맑음보은 9.6℃
  • 흐림금산 11.8℃
  • 맑음강진군 15.1℃
  • 흐림경주시 13.4℃
  • 흐림거제 14.1℃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사회

새벽배송 논란 뒤에 숨은 쿠팡…"야간단가 개당 900원 안팎"

 

[문화투데이 황재연 기자] 노동계와 이커머스(전자상거래)·택배업계에서 새벽 배송 금지 추진에 대한 갑론을박이 뜨거운 모양새다.

 

이는 민주노총 택배노조가 지난달 22일 '택배 사회적대화 기구' 회의에서 "0시∼오전 5시 초(超)심야 배송을 제한해 노동자의 수면시간과 건강권을 최소한으로 보장하자"고 제안하자 쿠팡 노조·소비자단체들이 일할 권리와 소비자 편익을 이유로 반대하고 나서 불거졌다.

 

그러나 9일 업계와 노동계에선 택배노조의 '초심야배송 제한' 추진이 쿠팡의 로켓배송 시스템과 싼 단가 때문에 초래됐음에도 사안이 '새벽배송 찬반으로 논쟁'으로 흘러가 본질을 가리고 있다며 쿠팡이 품목 조정과 단가 현실화 방안을 내놔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이커머스 업체와 택배사는 "쿠팡의 고강도·저단가 노동이 논란의 핵심인데 노동자 건강권 대 소비자 편익·일자리 문제로 여론이 형성되고 있다"며 쿠팡에 화살을 돌렸다.

 

쿠팡이 다른 새벽배송 업체들과 달리 막대한 물량을 앞세워 배송 단가를 끌어내리는 바람에 근로 강도와 수익구조를 왜곡한다는 것이다.

 

쓱닷컴은 계획된 배송물량에 따라 주문이 마감되면 고객이 다음 시간대 배송을 고르도록 설계돼 있다. 컬리는 인공지능(AI) 기술로 당일에 팔릴 것으로 예상되는 수량만 선발주해 새벽배송 기사의 업무 강도가 일률적으로 유지된다.

 

로켓배송으로 성장한 쿠팡은 새벽 배송 대상 품목과 물량이 압도적으로 많지만, 배송 단가는 개당 1천원에 못 미친다.

 

물류업계 한 관계자는 "쿠팡의 야간 배송 단가는 개당 900원 안팎으로 다른 업체들(2천원대)과 비교해 절반 이하 수준"이라며 "물량이 많아 총수입은 많지만, 기사 입장에서는 그만큼 더 많이 뛰어야 벌 수 있는 구조"라고 지적했다.

 

4년 넘게 쿠팡 새벽 배송 업무를 해온 여성 기사 A씨는 연합뉴스와 통화에서 "일 자체가 엄청나게 힘들진 않지만, 단가가 계속해서 낮아지면서 새벽 배송 일 외에 투잡, 쓰리잡을 하는 경우가 많아졌다"며 "어느 정도 수입을 보장해주면 지금처럼 과로나 산재로 이어질 일이 많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

 

전국택배노동조합과 택배노동자과로사대책위원회가 최근 발표한 쿠팡 배송기사 노동실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아파트 배송 건당 수수료 중윗값은 주간이 655원, 야간은 850원이고, 일반 번지는 주간이 730원, 야간이 940원으로 각각 나타났다.

 

쿠팡 노동자의 배송 물량은 작년 대비 8% 늘었지만, 배송 기사의 실질소득은 오히려 2%가량 줄었다. 캠프와 배송지를 오가는 다회전 횟수도 매해 늘고 있다.

 

쿠팡 새벽 배송 기사들은 오후 8시30분(1차), 오전 0시30분(2차), 오전 3시30분(3차)에 캠프에 들어가 물품을 직접 분류한 뒤 싣고 나오는 작업을 반복한다.

 

기사들은 오전 7시까지 배송 완료를 지키지 못하면 영업점 계약이 해지되거나 구역을 회수당할 수 있기 때문에 과로가 굳어졌다고 호소한다.

 

여성 기사 A씨는 "개선된 점은 거의 없고 그저 '나 몰라라' 한다고 느낀다"며 "쿠팡이 몇십조원을 번다고 하고 대리점주들은 집을 샀다, 건물을 샀다 소문이 나는데 큰 박탈감을 느낀다. 그저 일개미가 된 기분"이라고 털어놨다.

 

반면 소비자주권시민회의는 "새벽 배송 전면 금지 피해는 소비자나 자영업자의 불편에 그치지 않고 물류 종사자와 연관 사업자 등 광범위한 사회 구성원의 일상과 생계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이라고 맞섰다.

 

쿠팡의 직고용 배송 기사 노조인 쿠팡친구 노동조합(쿠팡노조)은 "심야 배송을 금지하면 간선 기사들과 물류센터 노동자들 모두 일자리를 잃을 수 있다"며 반대 입장을 내면서 "민노총 탈퇴의 보복으로 보인다"고 각을 세웠다.

 

이커머스 업계는 "주문 후 1∼2시간 안에 배송하는 퀵커머스(즉시배송) 전쟁이 불붙은 상황에서 새벽 배송 금지 논의는 현실성이 떨어지고, 실익도 없다"며 "쿠팡이 새벽 배송 품목 조정과 단가를 현실화하는 등 해법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택배노조는 "오전 5시 출근한 택배 기사들이 쿠팡 캠프에 도착해 분류작업과 프레시백 반납작업을 하지 않고 물건을 싣고 곧바로 배송에 나간다면 과로 부담은 현격히 줄고 소비자들도 초심야시간 규제로 인한 불편을 없앨 수 있다"고 밝혔다.

 

쿠팡은 분류작업 전가 금지·작업시간 제한 등을 골자로 한 '택배 노동자 과로사 예방을 위한 사회적 합의'에 참여하지 않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