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11.11 (화)

  • 맑음동두천 6.6℃
  • 맑음강릉 12.7℃
  • 맑음서울 9.0℃
  • 구름조금대전 8.8℃
  • 구름조금대구 10.8℃
  • 구름많음울산 9.5℃
  • 구름많음광주 10.2℃
  • 맑음부산 15.1℃
  • 구름많음고창 10.3℃
  • 구름조금제주 15.7℃
  • 맑음강화 8.7℃
  • 구름조금보은 6.7℃
  • 구름조금금산 5.8℃
  • 구름많음강진군 11.9℃
  • 구름많음경주시 11.3℃
  • 맑음거제 12.4℃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문화연예

왜구 방어 위해 쌓은 '군사 거점'…서천읍성, 사적 지정

일제강점기 '철거' 수난에도 성벽 대부분 남아…촘촘한 방어 시설 주목

 

[문화투데이 장은영 기자] 조선 초 왜구의 침입을 막기 위해 쌓아 올린 충남 서천의 읍성(邑城)이 국가유산이 됐다.

 

읍성은 도시를 성벽으로 둘러싸고 곳곳에 문을 만들어 외부와 연결하게 쌓은 성이다.

 

국가유산청은 '서천읍성'을 사적으로 지정했다고 11일 밝혔다.

 

서천읍성은 금강 하구를 통해 충청 내륙으로 침입하는 왜구를 방어하고자 조선 초 세종(재위 1418∼1450)대에 바닷가 요충지에 돌로 쌓은 연해(沿海) 읍성이다.

 

연해 읍성으로는 드물게 산지에 축성됐다.

 

일제강점기인 1910년 내려진 '조선읍성 훼철령'으로 전국의 여러 읍성이 철거된 가운데 서천읍성은 성벽 대부분이 훼손되지 않고 잘 남아있는 편이다.

 

성벽의 경우, 전체 둘레 1천645m 중 93% 남짓인 1천535.5m가 잔존한다.

 

서천읍성은 조선 초기 성을 쌓는 기준과 정책 변천사를 엿볼 수 있어 의미가 크다.

 

1438년 반포된 '축성신도'(築城新圖·조선 초기 성을 쌓을 때의 기준)에 따른 계단식 내벽, 1443년 이보흠이 건의한 한양도성의 수직 내벽 축조 기법 등이 동시에 확인된다.

 

성 아래로 접근하는 적을 퇴치하기 위해 성벽에 튀어나오게 쌓은 구조물인 치성(雉城)의 경우, 현재까지 조사 결과 16개소가 확인된 바 있다.

 

서천읍성의 치성은 대체로 90m 간격으로 설치돼 있다. 1433년 기록으로 알려진 설치 기준인 150보(약 155m)보다 촘촘한 것으로, 다른 읍성에서는 찾기 어려운 양식이다.

 

성 주위에 둘러 판 방어용 연못인 해자(垓字), 땅을 판 구덩이 형태의 흔적도 있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조선 초기의 연해 읍성 축성 구조와 변화 과정 등을 잘 보여주고, 다양한 조선 초기 읍성의 유구 등이 잘 남아 있어 가치가 크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