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투데이 황재연 기자] 올 추석을 앞두고 명절 수요가 많은 사과·배 출하가 지난해보다 늘어 도매가격이 내려갈 것으로 전망됐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는 추석 성수기(추석 전 2주) 사과와 배 출하량이 각각 작년 대비 7% 늘 것이라고 7일 전망했다.
이 연구원은 올해 추석이 10월 6일로 지난해(9월 17일)보다 20일 가까이 늦다는 점을 출하량 증가의 주요인으로 꼽았다.
농촌경제연구원은 추석 성수기 사과 출하량은 5만4천200t(톤)으로 작년 대비 6.5% 증가하고 평년보다 31.2% 늘어날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면서 추석이 지난해보다 늦어 아리수, 양광, 시나노골드 같은 품종의 조기 출하가 가능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추석 성수기(9월 22일∼10월 5일) 홍로 상품 도매가격(가락시장)은 작년(5만5천700원)보다 하락한 5만3천원 안팎으로 예상된다.
배는 추석 성수기 출하량이 4만2천500t으로 작년 대비 7.2% 늘어날 것이라고 농촌경제연구원은 전망했다.
연구원에 따르면 여름철 지속된 고온으로 과실이 커지는 것이 작년보다 열흘(10일) 정도 지연돼 수확 시기가 늦어진 영향으로 추석 성수기에 집중적으로 출하될 것으로 보인다.
추석 성수기 가장 흔히 먹는 신고배 도매가격은 상품 7.5㎏가 3만4천원 안팎으로 작년(3만9천200원)보다 5천원가량 낮을 전망이다.
농림축산식품부 관계자는 "작년에는 추석이 빨라 홍로만 유통할 수 있었는데 올해는 추석이 늦어 양광 같은 품종도 나올 수 있다"면서 "배는 추석에 조생종인 원황 품종 위주였는데 올해는 중생종 신고도 일찍 수확하는 농가들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농식품부는 여름철 고온 등으로 과일 크기가 다소 작을 것에 대비해 중간 크기와 작은 크기의 선물 세트를 확대 공급할 계획이다.
농촌경제연구원 전망에 따르면 올해 사과 생산량은 44만∼46만t으로 작년(46만t)과 비슷하거나 3.7%까지 줄어들 수 있다. 지속된 고온으로 일소(햇볕 데임) 등 생리장해가 늘었다.
올해 배 생산량은 20만3천t으로 작년보다 13.9% 증가할 것으로 전망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