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04 (월)

  • 구름많음동두천 15.5℃
  • 구름조금강릉 20.9℃
  • 구름많음서울 17.5℃
  • 구름많음대전 16.8℃
  • 박무대구 14.6℃
  • 맑음울산 17.4℃
  • 광주 14.0℃
  • 맑음부산 18.9℃
  • 흐림고창 15.0℃
  • 맑음제주 22.5℃
  • 흐림강화 16.0℃
  • 구름많음보은 13.8℃
  • 흐림금산 14.3℃
  • 흐림강진군 13.8℃
  • 맑음경주시 16.2℃
  • 맑음거제 18.8℃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경제

<생활속 식품상식> '식품용 종이제' 과연 안전할까...안전한 사용법은


일반적으로 펄프를 주원료로 제조한 것을 종이제라고 한다. 이 종이제는 식품용기나 포장지 등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물에 젖기 쉬운 종이의 특성을 보완하기 위해 식품용 왁스나 합성수지 등으로 코팅처리를 하기도 한다.


때문에 인쇄잉크 성분의 유해물질이나 불순물이 식품으로 옮겨가지 않을까 우려가 되기도 한다. 이에 식품의약품안전처(처장 김승희)는 주원료가 펌프인 종이제의 경우 폴리염화비페닐, 비소, 납, 포름알데히드, 형광증백제, 벤조페논 등에 대한 기준과 규격을 정해 관리하고 있다.


식품용 종이제의 안전한 사용법을 식약처를 통해 알아본다.

 
대표적인 종이제로 커피필터와 같은 여과지, 티백, 포장지 등이 있으며 종이제에 식품용 왁스나 합성수지제, 고무제 등으로 도장 가공한 우유팩과 라면 용기, 접시 등이 있다.
 

식품과 직접 접촉하는 면에는 인쇄를 해서는 안 된다. 바깥 면에 인쇄를 할경우에는 인쇄 잉크를 반드시 건조시켜야 하고 이 경우, 잉크성분인 벤조페논 용출량이 0.6mg/L을 초과해서는 안된다.
 

종이컵은 일반적으로 식품과 접촉하는 내면에 폴리에틸렌(PE) 코팅을 한다. 폴리에틸렌에 뜨거운 물이나 음료를 담는 것은 안전하다. 다만, 종이컵은 전자레인지용으로 만들어진 제품이 아니므로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흔히 녹차나 보리차 등에 이용하는 티백은 차 등의 고유 성분이 물에 우러나올 수 있도록 미세한 다공질 포장재로 소포장한 것이다. 티백의 재질은 주로 종이인데,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 프탈레이트(PET),폴리락타이드(PLA) 등의 합성수지제가 사용된다.
 

종이나 폴리아미드 등의 재질은 내열성이 있으며 티백을 봉합하거나 실을 붙일 때도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열이나 압력을 이용하고 있어, 접착제 등 유해물질의 유출에 대한 걱정은하지 않아도 된다. 하지만 차 맛을 제대로 우려내기 위해서는 제품 포장의 표시 사항을 지키는 것이 좋다.


<종이제 및 티백에 대한 궁금증 Q&A>


Q. 식품용 종이제란.
   

펄프를 주원료로 해 제조한 것을 종이제라 하며종이제에 식품용 왁스, 합성수지제 또는 고무제 등으로 도장가공한 것은 가공지제로 분류하고 있다.


Q. 식품용 종이제는 어디에 사용되고 있나.
   

종이제로는 커피필터 등의 여과지, 티백, 포장지 등을 들 수 있으며 가공지제로는 종이와 폴리에틸렌(PE), 알루미늄포일 등을 이용해 식품의 종류 및 사용목적에 적합하도록 2층 또는 다층으로 라미네이트 가공하여 만든 우유팩, 라면용기, 접시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Q. 종이는 어떻게 제조하나.


종이는목재 등으로부터 펄프를 추출한 다음, 펄프를 물에 풀고 충전제 등을 혼합하여 원료를 준비한 후, 종이를 뜨고 탈수·압착·건조 등의 공정을 거쳐 제조하며 일반적으로 롤 형태로 감아 보관·운반 합니다. 이후에 사용 용도 및 목적에 맞춰 재단하거나 후가공 공정을 거치게 된다.


Q. 종이의 주원료인 펄프란 무엇인가.
   

펄프란 목재 등의 섬유 원료로부터 기계적 또는 화학적 방법 등으로 처리해 얻은 섬유의 집합체를 말한다.
   

목재의 주요 구성 성분은 셀룰로오스, 헤미셀룰로오스, 리그닌 등으로 이뤄져 있으며 화학적으로 처리한 펄프는 셀룰로오스 만으로 이루어져 고급종이의 원료로 사용되며 기계적으로 목재를 분쇄시켜 제조한 펄프는 목재의 성분이 그대로 잔류하게 돼 품질이 떨어지므로 신문용지, 중질지 등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다.


Q. 종이의 종류에는 어떠한 것이 있나.
   

식품용으로 사용되는 종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다음을 들 수 있다.
   

크라프트지 : 화학적 방법으로 제조한 크라프트 펄프로부터 제조되는 종이로 강도가 높아 종이백, 종이봉지 등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내유성종이, 글래신지 : 제지과정에서 펄프를 오래 짓이김으로써 셀룰로오스 섬유를 수화시켜 내유성을 부여한 반투명의 종이이다.
   

황산지(유산지): 펄프를 황산에 담궈 셀룰로오스 섬유를 팽창시키고 부분적으로 용해하여 제조한 종이로 냄새 등이 없고 매끄러운 표면을 가지고 있는 종이다.
   

왁스지 : 왁스가 처리된 종이로 수분차단성 포장재의 하나로서 내유성과 열접착성을가지고 있다.
   

골판지 : 원판지에 파형의 골심지를 접착하여 만든 판지로 비교적 적은 무게의 재료를 사용하면서도 높은 압축강도를 나타내 상자의 형태로 많이 사용된다.


Q. 식품용 종이제의 안전관리는 어떻게 하고 있나.
   

종이제로부터 식품으로 유해물질이나 불순물이 이행되지 않도록 PCBs, 비소, 납, 포름알데히드, 형광증백제등에 대한 기준·규격을 정해 안전관리를 하고 있다.
   

또한 식품과 직접 접촉하는 면에 합성수지제 등이 코팅된 가공지제의 경우에는 합성수지제 등 해당 재질의 규격이 적용된다.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PE)이 코팅된 가공지제는납, 과망간산칼륨소비량, 총용출량, 1-헥센, 1-옥텐 등에 대한 기준·규격을 적용받게 된다.


Q. 종이제 등에대한 인쇄 관련 규정은 어떻게 돼있나.
   

인쇄 잉크 등으로부터 유래될 수 있는 물질에 대한 안전관리를  위해 다음과 같은 규정을 정하고 있다.
▲식품과 직접 접촉하는 면에는 인쇄를 하여서는 아니된다. ▲바깥면에 인쇄를 하는 경우에는 인쇄 잉크를 반드시 건조시켜야 하며, 이 경우 잉크 성분인 벤조페논의 용출량은 0.6 mg/L 이하이어야 한다.


Q. 종이접시, 종이도시락, 종이포일 등은 어떻게 관리되고 있나.
   

종이는 쉽게 물을 흡수하는 등 일반적으로 내수성이 떨어지므로 종이접시, 종이도시락 및 종이호일 등을 제조시에는 단순히 종이만으로 만들지 않고 폴리에틸렌(PE) 등의 합성수지를 코팅해 제조하고 있으며 식품과 직접 접촉하는 면에 사용된 재질의 기준·규격을 적용하여 안전관리를 하고 있다.


Q. 종이컵은 어떻게 관리되고 있나.
   

종이제의 일회용 물컵은 공중위생법에 의한 기타 위생용품으로 분류되며 사용과정에서 컵으로부터 식품으로 이행될 우려가 있는 유해물질이나 불순물에 대한 관리를위하여 식품위생법에서 정한 기준규격을 준수하도록 돼 있다.
   

종이컵은 일반적으로 물이나 커피 등을 담았을 때 액체가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식품과 접촉하는 내면에 폴리에틸렌(PE) 코팅을 하므로 폴리에틸렌의 기준·규격을적용해 안전관리를 하고 있다.
    

Q. 종이컵에 음식을 담아 전자레인지에 사용해도 되나.
   

종이컵에뜨거운 물이나 커피 등의 식품을 담아 사용하는 것은 통상 안전하다. 다만, 일반적인 종이컵은 전자레인지용으로 만들어진 제품이 아니므로 음식을 전자레인지에서 조리할 때에는 '전자레인지용'으로 표시된 전용 용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Q. 티백의 재질은 무엇으로 이뤄져 있나.
   

주로 종이를 사용하고 있으며 폴리아미드,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락타이드(PLA) 등과 같은 합성수지제가 사용되기도 한다.
   

또한 티백의 모양은 일반적인 평면사각형 뿐만 아니라, 피라미드형, 스틱형, 원형 등 여러 형태가 사용되고 있다.


Q. 티백을 뜨거운 물에 넣어 사용해도 안전한가.
   

침출용 티백의 재질로 사용되는 종이, 폴리아미드 등은 내열성이 있으며 각 재질의 사용방법에 따른 기준·규격에 적합하도록 관리되고 있다.
   

또한 티백의 봉합이나 실을 붙일 때에도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열 또는 압력을 이용해 봉합하고 있으므로 접착제성분의 용출에 대해서 우려하지않으셔도 된다.


Q. 녹차 티백을 담궈두고 마시거나 보리차 티백을 처음부터 찬물에 넣어 끓여도 괜찮나.
   

티백 재질로부터 유해물질이 검출될 우려는 없으나 차의 제 맛을 내기에 적당한 침출온도와 시간은 제품의 특성에 따라다를 수 있으므로 제품의 겉포장에 있는 표시사항을 따르는 것이 좋다.


관련기사

56건의 관련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