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04 (목)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사회

'990원 빵' 논란 속 빵 물가 6개월째 6%대 고공행진

8월 빵값 6.5%↑, 2년 1개월 만에 최고…"출고가 인상 등 반영"
공정위 보고서, '원재료 유통 경쟁제한·시장 독점 가능성' 거론

 

[문화투데이 황재연 기자] 빵값이 6개월 연속 고공행진을 이어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빵값은 작년보다 6% 넘게 뛴 가운데 최근 유튜브 채널 '슈카월드'의 '990원 빵' 판매로 적정 가격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8월 빵 물가지수는 138.61(2020년=100)로, 지난해 같은 달보다 6.5% 상승했다.

 

이는 같은 기간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률(1.7%)의 3배 이상에 달한다.

 

SKT의 통신 요금 인하 정책 효과를 제외하고 통계청이 추정한 소비자 물가상승률(2.3%)과 비교해도 두 배가 넘는 수준이다.

 

빵 가격이 이처럼 크게 오른 것은 2023년 7월(8.6%) 이후 2년1개월 만이다.

 

빵값은 지난해 4월부터 11월까지는 1% 미만 상승률을 기록했으나, 12월 3.3%, 올해 1월 3.2%, 2월 4.9%로 오르더니 3월부터는 6개월 연속 6%대 상승률을 유지하고 있다. 3월에 6.3%로 껑충 뛰었고 4~7월은 각 6.4%였다.

 

빵의 주재료인 밀가루 가격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의 영향으로 2022년 9월 작년 동월 대비 45.5%까지 급등한 뒤, 이듬해 9월(-0.4%)과 지난해 9월(-3.8%) 등 2년 연속 하락했다.

 

이후에는 -1.4%∼1.3% 움직이며 안정세를 보이고 있지만, 여전히 전쟁 이전보다 높은 수준이다.

 

달걀 가격은 지난 4월 이후 꾸준히 올랐고 8월에는 작년 같은 달보다 8.0% 뛰었다.

 

통계청 관계자는 "작년 말부터 시작된 출고가 인상이 누적돼 반영되고 있으며, 주요 원재료 가격 상승과 인건비 부담 등도 복합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유명 경제 유튜버 '슈카'는 최근 '빵플레이션'(빵+인플레이션)에 대응하겠다며 소금빵과 베이글 등을 990원에 판매해 화제가 됐다.

 

하지만 일부 자영업자들 사이에서는 "마치 기존 빵집들이 과도한 이윤을 남기고 있는 것처럼 보일 수 있다"는 비판도 제기됐다.

 

이런 가운데 국내 빵값이 주요 국가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수준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공주대 산학협력단이 공정거래위원회 의뢰로 수행한 '제빵산업 시장분석 및 주요 규제 경쟁영향평가' 보고서에 따르면, 2023년 기준 한국의 빵 소비자물가지수는 129로, 미국(125), 일본(120), 프랑스(118)보다 높았다.

 

100g당 평균 빵 가격도 한국(703원)이 프랑스(609원), 미국(588원), 호주(566원)보다 비쌌다.

 

보고서에는 국내 베이커리 전문점의 수익성이 크게 향상됐다는 분석도 담겼다.

 

매출은 2020년 약 6조240억원에서 2022년 약 7조5천700억원으로 2년 사이 25.7% 증가했는데, 같은 기간 영업이익은 2천700억원에서 4천700억원으로 75.3% 늘었다.

 

양산빵 시장도 확대 추세다. 국내 양산빵 판매액은 2018년 2조8천372억 원에서 2022년 3조9천589억 원으로 연평균 8.7% 증가했다.

 

이는 전체 식품 국내 판매액 연평균 증가율(6.0%)보다 높은 수준이다.

 

1kg당 생산 단가는 2020년 2천9원에서 2022년 4천534원으로 상승했는데 같은 기간 판매단가는 2천485원에서 5천591원으로 뛰어서 생산 단가와의 격차도 더 커진 것으로 나타났다.

 

보고서는 최종 결론을 비공개했지만, 설탕·계란·우유 등 주요 원재료가 가공·유통되는 과정에서 시장 경쟁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 구조적 문제가 있다고 분석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양산빵 소매 시장에서 SPC삼립의 매출액 점유율이 80%에 달해 사실상 독점력이 존재할 가능성도 제기됐다.

 

이와 관련해 공정위는 지난 4월부터 농심, 오리온, 롯데웰푸드, 크라운제과, 해태제과 등 주요 식품업체를 상대로 현장조사에 나서서 빵·과자류 출고가 인상 과정에서 담합이 있었는지를 들여다보고 있다.

 

또 지난 6월에는 대한산란계협회가 고시가격을 회원사에 따르도록 강제해 계란 가격 상승을 유도했는지에 관해서도 조사에 착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