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11.03 (일)

  • 맑음동두천 19.3℃
  • 흐림강릉 16.9℃
  • 맑음서울 19.1℃
  • 흐림대전 16.0℃
  • 구름많음대구 18.0℃
  • 흐림울산 17.0℃
  • 구름많음광주 18.2℃
  • 흐림부산 17.3℃
  • 흐림고창 16.0℃
  • 흐림제주 19.7℃
  • 맑음강화 19.0℃
  • 흐림보은 15.5℃
  • 흐림금산 16.7℃
  • 구름많음강진군 18.5℃
  • 흐림경주시 17.0℃
  • 흐림거제 18.0℃
기상청 제공
검색창 열기

오피니언

<김진수 칼럼> 노니 불량제품! 직구와 현지구매는 어쩌나?

 [문화투데이 = 김진수 논설실장] 식품의약품안전처는 온라인에 판매되고 있는 노니 분말과 환 제품 88개를 수거하여 검사한 결과, 금속성 이물 기준을 초과한 ‘노니 분말’ 등 22개 제품에 대해 판매 중단 및 회수조치하고 온라인상 허위‧과대광고 행위를 일삼는 196개 사이트, 65개 제품과 판매업체 104곳에 대해서도 방송통신심의위원회에 사이트 차단을 요청했다고 한다.

 

한 달 전쯤 베트남 다낭을 갔을 때 주변에서 노니를 좀 사달라고 부탁을 받고 여행가이드가 안내하는 곳에서 상당히 비싼 가격으로 구입한 적이 있다. 나만 노니에 대해 몰랐지 TV방송에서 노니가 항암, 항염제로 정평이 이미 나 있어 국민적 열풍이 불고 있었던 것이다. 그래서 온라인상에는 노니제품이 불티나게 팔리고 관절염 등으로 고통 받는 사람들은 베트남 현지에 가서 효능이 좋은 제품 사기를 원했던 것이다.

 

‘나무위키’의 설명을 빌리면 원산지에서는 노니를 착즙 진액 상태로 먹거나, 가공식품인 주스와 가루로 먹는 것이 일반적이고 분말은 자연 건조 분말 또는 동결 건조된 분말이 있으며 농축의 정도가 많은 동결건조의 경우 자연 노니가루에 비해 많게는 수백 배나 되는 함량으로 가격이 높게 형성된다고 한다. 주 효능으로는 관절염, 궤양, 피부병 완화 등을 비롯하여 면역력과 소화에도 좋다고 말하고 있다.

 

그러나 미국 FDA는 노니 제품 제조업체에 입증되지 않은 내용의 효능 표시에 대한 경고를 하고 있고, 미국 암(癌)학회는 노니 주스가 암 또는 인간의 다른 질병에 효과를 신뢰할 수 있는 임상적 증거는 없다고 발표했다. 실제로 노니의 효능에 관한 연구는 동물실험을 통한 경우가 대부분이며, 사람에게 유익한 효과를 보인 연구는 거의 없다는 것이다.

 

지난 해 10월에 서울시에서 노니분말의 쇳가루 검사를 하고 확인하는 차원에서 식약처가 또 다시 검사한 결과, 마찬가지의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시중에 판매되거나 온라인상에서 유통, 판매되고 있는 것은 이번 단속으로 문제가 해결되었다고 쳐도 진짜를 사겠다고 노니제품을 현지에서 또는 직구를 통해 구입한 사람들은 먹어야 할지 말아야 할지 어떻게 해결하느냐는 것이다. 

 

그리고 더 큰 문제는 이번에 문제가 된 노니제품에 국한된 것이 아니고 각 TV방송에서 경쟁적으로 어느 질병에는 무슨 식물의 열매, 잎, 뿌리가 좋다고 전문가들이 나와서 국민들을 미혹시키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방송내용을 검증해서 진위여부를 알려야 할 기관들이 입을 다물고 방조하고 있다는 것이 더 위험한 일이라는 생각이 든다.

 

식약처에서는 국내외에서 생산하고 있는 식품, 건강기능식품, 의약품, 화장품 등의 위해정보를 수집하고 홈페이지를 통해 발표하는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러나 그동안 대부분의 국외 위해정보는 병원성 미생물이나 유해화학물질이 함유된 식품 등이었다. 

 

우리나라에서는 언젠가부터 위해물질로 이물질이 더 부각되어 사회문제로 비화되어 왔다. 음료수에서 곰팡이가 핀 부유물질이 뜨고, 고춧가루에 쇳가루가 발견되고, 중국산 김치에서는 야생동물의 분변에서 유래된 회충알이 검출되어 사회적인 물의를 야기한 적이 있다. 

 

그래서 HACCP제도의 대상 품목은 주로 병원성미생물이 우려되는 식육이나 어육 등을 원료로 하는 제품인데 반하여 김치에 회충알이 발견되고 난 뒤에는 김치가 HACCP 대상품목으로 선정되어 관리되고 있다.

 

이러한 식품사고가 발생한 적이 있다면 식약처는 소극적으로 위해정보만 수집할 것이 아니라 위해물질에서 다소 비중이 떨어지더라도 현실적으로 국민들이 이물질에 대한 관심이 크다면 정기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의심이 가는 제품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관리했어야 했다. 금 번 노니의 경우 노니가 좋다며 국내 방송에서 불을 지피고 소비자들은 이를 온라인 또는 해외에서 현지구매하거나 직구하는 일이 벌어졌다면 의당 식약처는 방송위원회에 전문가적인 입장에서 검토의견을 보내어 문제를 사전 차단했어야 했다. 

 

아울러 관세청에서 관광객이 입국할 때 또는 우체국 등을 통해 구매한 물품의 리스트를 입수하는 노력도 병행하여 해당 물품에 대한 위해정보를 국민들에게 널리 알려 위해제품에 대한 예비지식을 가지게 하는 것이 마땅했었다.

 

식품사고는 한 번 터지면 꼬리에 꼬리를 물고 일어나는 현상이 있음을 상기해야 한다. 그동안 다소 소극적인 자세로 위해관리행정에 안주했다면 지금부터라도 인터넷이 발달하고 해외관광이 증가하는 등 사회가 급변하고 있는 추세에 맞추어 식품 등에 대한 위해관리에 더욱 신경을 써야 한다. 

 

특히 해외직구나 현지구매에 대한 물품의 위해정보를 알리는 창구를 개설하여 국민들이 해외에서 물품을 안심하고 구입하도록 적극적인 행정을 펴야 한다. 앞으로 노니제품에 이어 또 다른 위해사고가 잇따라 일어나지 않도록 식품 등의 위해관리에 만전을 기해 주길 바란다.

관련기사

26건의 관련기사 더보기